MZ세대는 지금 웹소설 감성에 빠졌다고 하오 (careet.net)
 

MZ세대는 지금 웹소설 감성에 빠졌다고 하오

트렌드를 읽는 가장 빠른 방법

www.careet.net

 

웹소설. 내 중학교시절의 밤을 책임졌던 놈. 정말 초6~중1때는 인소(인터넷 소설), 럽실소(러브실제소설)를 보면서 살았다.

어린 마음에 설레하고, '나한테도 이런 일이!?'를 꿈꾸고, 친구들과 야 그거 봤어?라는 수다의 단골 소재.

 

또, 스마트폰이 아니라 투지폰에 다운 받아서 아니면 MP4에 다운 받아서 읽기도 했다. (물론, 스마트폰 나오고 나서 좀 읽다가 안 읽게 되었음)

 

매점오빠, 공고훈남,혼수상태, 내 남자친구에게, 도레미파솔라시도, 온새미로, 아빠가 된 일진짱, 나쁜남자가 끌리는 이유, 관계자외출입금지

등등... 해피엔딩을 보면 밤새 설렜고, 새드엔딩을 읽으면 감정이입이 최고조라 울면서 봤다.. 

 

어쨋든, 20대 여성들에게 럽실소, 인소는 필수였고 추억이었다ㅠㅠ

간단히 인소 -> 현재 웹소설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.

출처 : 고구마팜 기사

 

기사에 보면 웹소설 산업규모가 약 4천억이며 세계적으로 더 성장할 것이라 전망된다고 한다.

출처 : 기사 캡처

 

 

그리고 많은 웹소설이 현재 웹툰화 되어가고 있고, 이런 웹툰은 드라마까지 이어지고 있다.

웹툰&웹소설이 드라마되면 드라마홍보를 위해서 원작을 보게 만들고, 이는 사람들에게 이용권을 주거나 결제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.

현재 넷플릭스 시리즈로도 많은 작품이 방영되고 있다!

 

 

출처 : 기사 캡처

웹소설로 돌아오면,

 

많은 플랫폼에서 웹소설을 연재중이고, 특히 '채티'라는 앱이 인기다

출처 : 채티 홈페이지 캡처

 

 

채티는 다른 앱과는 다르게 '채팅'형식으로 스토리를 이어간다는 점이 신기했다.

 

 

📌웹소설 비교 

1. 네이버 웹소설

출처 : 네이버 웹소설 '날 닮은 아이'

이건 컴퓨터로 봤을 때이다. 앱으로 볼 때와는 다른 모습.

컴퓨터로 볼 때 누가 얘기를 하는 건지 대사 옆에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나와있어서 한 눈에 보기 더 쉬운 것 같다.

 

 

 

출처 : 네이버 시리즈 앱

네이버로 웹소설을 볼 때 정말 책을 넘기는 느낌이 들어서 좋다. 여기서도 그냥 단순히 다음 페이지로 전환되는 것보다는, 이런 디자인을 나타내서 더 몰입감이 생기는 것 같다.

 

글로만 이루어진 웹소설을 읽는 것뿐만 아니라, '채티'처럼 채팅방식으로. 마치 카카오톡 처럼!(고구마팜 기사 일부 인용)

 

MZ세대에게 익숙한 카톡을 웹소설과 접목시킨다? -> 몰입감 상승, 그리고 우리가 옛날에 럽실소를 보면서 '이건 실제 소설이니까 나한테도 이런일이..!'이렇게 느꼈던 것처럼 MZ세대, 아니 전국민이 쓴다고 할 수 있는 카카오톡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면 더 생생한 느낌을 받을 것 같다.

 

 

출처 : 고구마팜

웹소설의 장점! 다양한 이모지와 새로운 말투 창조 가능

옛날 우리의 추억 귀여니 소설을 생각해보자. '쿸..너 앞으로 내 거해라-_-z' '뭐어?! 시러 니가 뭔데 !!ㅠ0ㅠ' 이런 느낌,,기억나시죠..?

 

요즘에 이런 과거갬성이 떠오르면서 옛날 인소 대사를 인용해서 , 혹은 저런 이모티콘을 쓰면서 홍보하는 현상이 많아지고 있다! (여러 마케팅 효과로 쓰이는중! 근데 시간이 지나면서 좀 식상하다고 느낄수도)

 

웹소설의 진화. MZ세대를 제대로 저격하는 중. 앞으로 더 커질 시장이라는 전망 -> 발굴에 더 힘써야할 것이며 이런 웹소설을 웹툰화, 드라마까지 만들어서 수익창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.

 

 


📌정리

🎀우리들의 추억 = 인소+럽실소 / 지금 웹소설은 앱으로 편하게 볼 수 있고, 우리가 알던 인소와는 비슷한 결이지만 조금은 다른 것

🎀웹소설의 시장 규모가 더 커질 것이고, 이런 웹소설은 웹툰까지 확장 가능. 

🎀웹툰은 드라마까지 연결이 가능하다. 일반방송뿐만 아니라 여러 OTT플랫폼에서 진행중.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 수 있음. 돈도 될 수 있고 한국을 알릴 수도 있고. (현재 드라마화 된 것만 해도 '내일', '지금 우리 학교는' , '내 ID는 강남미인!', '여신강림', '마스크걸', '김비서가 왜 그럴까' 등등)

🎀그치만, 웹소설->웹툰->드라마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처음 원작인 웹소설의 내용을 해치지 말아야하고, (각색해서 더 좋은 내용이라면 괜찮다. 예시로 '엔딩후 서브남을 주었다'에서 댓글반응을 보면 각색을 잘해서 웹툰이 더 낫다는 반응이 있음) 드라마도 캐스팅부터 해서 내용까지 찰떡!으로 만들어야 함. 그래야 만족감 상승!

🎀MZ세대가 웹소설을 즐기는 새로운 방식 -> '채티'앱 

🎀채티앱은 '채팅'을 이용한 웹소설 진행. 카카오톡 느낌이라 좀 더 생생함을 느끼는 게 아닐까?

🎀웹소설 감성 -> 이모티콘이나 말투. 옛날 소설 감성을 이용해서 마케팅을 하기도 한다. ex)그게 뭔데... 어떻게 하는건데...

+ Recent posts